쌍용C&E
투자 요약 정보
- 2020년 국내 건설수주는 주거용건축 93조원(YoY +42%), 비주거건축 57조원(YoY +11%)을 기록, 수주에서 투자로 이어지는 건설 Cycle을 감안 시 올해는 전국적인 건축착공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됨
- 시멘트 투입이 착공 후 6개월부터 ~2년까지임을 고려 시, 이번 Cycle에서 시멘트 출하의 절정은 2022년 이후가 될 것
- 동사는 국내 최대규모 연안 시멘트공장인 동해공장(소성로 7기)과 내륙 공장인 영월공장(소성로 3기)을 보유하고 있는 시멘트사로, ‘골재/석회석 채취 → 조쇄/혼합 및 소성 → 운송(해안/내륙) → 레미콘’으로 이어지는 시멘트 밸류체인을 확보하고 있어 향후 2~3년간 이어질 시멘트 Up-Cycle에서 가장 많은 수혜가 전망됨
- 2020년 시멘트 내수 수요는 코로나19 및 여름철 잦은 강우 영향으로 4,600만톤 안팎 예상, 하지만 가파른 주택 수주 및 착공 증가로 4분기부터 수요는 반등하여 예상보다 양호한 4,700만톤을 기록
- 올해는 주거용 건축물 착공을 중심의 시멘트 출하 증가가 예상되며, 향후 2~3년간 연간 ~5,000만톤의 내수 시멘트 수요가 예상됨
- 2014년 이후 7년만에 시멘트 단가인상협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레미콘-건설사’간 협의가 원활히 진행될 경우 상반기 중 마무리 될 수 있을 것
- 시멘트 고시가격 기준 톤당 5,000원 인상 시 ASP 상승효과는 7~8%로 추정
- 동사는 2017년 상반기부터 원가절감설비투자를 지속 중이며, 순환자원시설의 경우 작년 총 4기가 순차 준공됨, 올해부터 비용절감효과가 온기로 반영될 것
- 직접적인 유연탄 비용감소효과만 연 ~300억원에 달할 것이며, 소각수수료수입 및 탄소배출권확보로 경쟁사 대비 높은 이익률(연결 OPM ~18%)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어 종합환경기업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됨
- 분기로 지급하는 연간 6%대의 배당수익률이 동사의 주가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다가오는 업사이클의 시멘트 대장주이자 종합환경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동사를 주목할 필요가 있음
요약재무정보
(단위: 천원) |
구 분 | 제 59기 | 제 58기 | 제 57기 |
---|---|---|---|
(2020년 12월말) | (2019년 12월말) | (2018년 12월말) | |
[유동자산] | 708,039,111 | 746,655,759 | 779,602,914 |
– 현금및현금성자산 | 216,364,922 | 254,790,440 | 230,146,268 |
– 단기금융자산 | 24,847,661 | 21,007,470 | 53,421,104 |
– 매출채권 | 302,531,391 | 298,572,137 | 305,605,522 |
– 재고자산 | 113,887,724 | 129,452,250 | 117,099,909 |
– 기타유동자산 | 21,680,517 | 24,461,032 | 45,818,342 |
– 매각예정자산 | 28,726,896 | 18,372,430 | 27,511,769 |
[비유동자산] | 2,618,761,961 | 2,621,356,458 | 2,690,582,972 |
– 장기금융자산 | 2,477,299 | 12,546,976 | 46,181,012 |
–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 1,308,059 | 1,504,759 | 1,449,074 |
– 유형자산 | 2,152,566,094 | 2,154,376,276 | 2,182,654,979 |
– 무형자산 | 322,913,951 | 341,570,760 | 348,839,976 |
– 투자부동산 | 6,710,443 | 14,465,599 | 13,198,355 |
– 기타비유동자산 | 132,786,115 | 96,892,088 | 98,259,576 |
자산총계 | 3,326,801,072 | 3,368,012,217 | 3,470,185,886 |
[유동부채] | 454,166,218 | 682,131,915 | 528,969,552 |
[비유동부채] | 1,182,953,099 | 884,524,531 | 962,328,764 |
부채총계 | 1,637,119,317 | 1,566,656,446 | 1,491,298,316 |
[자본금] | 50,385,960 | 505,403,280 | 505,403,280 |
[자본잉여금] | 486,135,116 | 755,002,159 | 768,117,065 |
[자본조정] | (67,588,662) | (46,649,603) | (46,649,602)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855,968) | (1,650,950) | 31,403,158 |
[이익잉여금] | 1,221,605,309 | 589,250,884 | 675,878,634 |
[비지배지분] | – | – | 44,735,035 |
자본총계 | 1,689,681,755 | 1,801,355,770 | 1,978,887,570 |
(2020.01.01~ 2020.12.31) | (2019.01.01~ 2019.12.31) | (2018.01.01~ 2018.12.31) | |
매출액 | 1,470,799,174 | 1,538,480,683 | 1,509,985,105 |
영업이익 | 250,161,895 | 229,221,974 | 247,489,397 |
당기순이익 | 138,181,425 | 131,120,968 | 147,364,183 |
당기순이익의 귀속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138,181,425 | 130,651,732 | 146,686,691 |
비지배지분 | – | 469,236 | 677,492 |
주당이익 | 275 | 258 | 2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