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아
투자 요약 정보
- 차량부문: 완성차 판매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 제네시스/SUV 판매 증가로 4륜구동 부품 공급 증가, 등속조인트의 그룹 외 OEM 공급 본격 확대, 해외법인 수익성 개선 노력 등 기대
- 기계 부문: 원가절감, 신기종 판매 확대를 통해 BEP를 달성하고, 향후 스마트팩토리의 일환으로 전기차 조립 자동화, 물류 자동화 로봇, 주차로봇 등 신사업 전환 등을 추진
- 신사업인 열관리시스템은 2023년 E-GMP 차종의 양산업체 선정, 2025년 열관리 및 공조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함
- 수소차 및 미래기술은 넥쏘 2세대에 수소저장모듈 및 공기압축기 2023년경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 중
- UAM, PBV 등 미래 모빌리티용 복합소재와 모듈 개발 추진 중
- 2030년까지 매출 12조원 달성 목표
- RV 수요 확대와 중국 가동률 회복 등 부품 가동률 상승과 제네시스 라인업 확대로 사륜 관련 매출액은 지속 증가
- 그룹 친환경차 전략에 맞춘 미래 전략 구체화: 통합열관리시스템, 수소저장시스템, 공기압축기 등
- 통합 열관리 시스템 사업 추진(PEEM, PATT, 실내공조 통합)을 통한 e-GMP 2차 발주 참여(‘23년 출시 예정, ‘20년 11월 중 결과 예상)
- 수소저장시스템 및 공기압축기 사업 추진(2023~24년 양산 목표)을 위한 기술 제휴와 JV 검토
- 국내 엔진공장은 완성차 물량증가와 탑재 차종 확대로 가동률이 상승하지만, 멕시코/중국은 현지 수요둔화와 러시아향 수출물량 감소로 가동률이 낮은 상태
-
연초 이후 2023년 출시 예정인 E-GMP 차종 대상으로 열관리 시스템을 수주하며, 신규로 진출한 사업부의 경쟁력을 보임과 동시에 내연기관에서 전동화로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
- 관련 제품의 매출효과가 현재 주력제품 대비 낮고 적용시점까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은 부담이지만, 내연기관 위주의 제품 포트폴리오로 인해 동사가 지금까지 받았던 우려를 희석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요약재무정보
(단위 : 백 만원 ) |
구 분 | 제45기 3분기 | 제44기 | 제43기 |
(2020년 9월말) | (2019년 12월말) | (2018년 12월말) | |
[유동자산] | 3,991,173 | 3,569,098 | 3,890,796 |
현금및현금성자산 | 577,914 | 382,584 | 335,766 |
매출채권 | 1,514,720 | 1,401,111 | 1,669,987 |
재고자산 | 773,777 | 665,170 | 803,083 |
기타(유동자산) | 1,124,762 | 1,120,233 | 1,081,960 |
[비유동자산] | 3,677,466 | 3,205,241 | 3,216,651 |
유형자산 | 3,159,250 | 2,560,961 | 2,569,456 |
무형자산 | 215,713 | 170,171 | 213,185 |
관계/공동기업 투자주식 | 127,359 | 325,211 | 310,103 |
기타(비유동자산) | 175,144 | 148,898 | 123,907 |
자산총계 | 7,668,639 | 6,774,339 | 7,107,447 |
[유동부채] | 1,960,032 | 1,861,396 | 1,862,772 |
[비유동부채] | 2,098,575 | 1,821,134 | 2,207,744 |
부채총계 | 4,058,607 | 3,682,530 | 4,070,516 |
[자본금] | 135,975 | 135,975 | 135,975 |
[기타불입자본] | 387,328 | 387,328 | 387,328 |
[기타자본구성요소] | 29,938 | 19,014 | (6,725) |
[이익잉여금] | 2,645,761 | 2,549,492 | 2,520,353 |
[비지배지분] | 411,030 | – | – |
자본총계 | 3,610,032 | 3,091,809 | 3,036,9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