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E평가정보
투자 요약 정보
- Credit Bureau 에서 빅데이터까지 금융 인프라 전반의 사업을 영위
- 지난 1985년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신용평가, 신용조회, 신용조사, 채권추심 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 현재는 개인신용정보(Credit Bureau), 기업정보, 자산관리, 빅데이터 사업 등을 영위
-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매출비중, CB 62.4%, 기업정보 22.3%, 자산관리 14.0%, 기타 1.3%
- 마이데이터 사업 관련 수혜 가능, 지난해 1월 가명정보 도입을 통한 데이터 이용 활성화, 개인정보 보호체계 일원화, 마이데이터 등 금융분야 데이터 신산업 도입, 전문기관을 통한 데이터 결합 지원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신용정보법·정보통신망법) 개정안 통과, 지난해 8월 5일부터 시행
-
이 중에서도 마이데이터 사업은 금융소비자의 금융자산 정보, 신용정보 등의 데이터가 금융사에 산재해 있어 관리가 힘들었던 것을 개선시켜 개인이 관리주체가 될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자산관리 등에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
-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관련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금융위원회의 허가 필요하지만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다양한 정보를 결합해 가공하여 새로운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만큼 시장이 확장되는 것으로 판단, 이에 따라 신규 마이데이터 사업자 등장으로 동사의 개인신용정보(Credit Bureau)에 대한 활용 및 솔루션 수요 등이 증가하면서 수혜 예상
- 빅데이터 관련 사업 성장성 부각: 데이터거래소,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 댐 등 데이터 경제를 위한 정보수집 기반이 지속적으로 확대 중, 이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통합 및 표준화 과정 등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 동사의 100% 자회사인 NICE 지니데이터의 경우 스크래이핑, 통신 정보, 임대, 소셜정보 및 여러 독립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많은 비신용 및 비 금융정보 등을 수집하여 데이터를 정제, 표준화하여 시장 트렌드 및 고객분석을 위한 마케팅 데이터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
- 데이터 정보 수집 기반이 확대되는 환경하에서 NICE 지니데이터의 빅데이터 관련 사업 성장성 등 부각 예상
- 마이데이터 및 빅데이터 사업 등의 성장이 밸류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 데이터 경제가 활성화 되는 환경하에서 데이터 관련 사업의 성장도 가속화 될 것
- 동사는 2017년 이후 기업정보 부문에서 고성장을 보였던 것과는 달리 개인신용정보 부문에서는 성장성이 높지 않았는데, 2020년 1분기 이후 개인신용정보 부문에서 고성장이 나타나고 있음, 이는 개인신용 정보 사업 중에서 은행권에 제공하는 개인CB 사업이 호조(개인들의 신용대출을 요청할 경우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사업)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
- 국내 대형 시중은행의 경우 개인 신용조회 증가에 대한 실적 기여가 올해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내년에 반영되기 때문에 이러한 흐름은 2021년 실적에도 긍정적
- 동사는 2011년 ~ 2019년 동안 역성장 없이 매년 실적상승(Sales CAGR 12.2%, OPCAGR 14.1%, 평균 OPM 10.7%)이 진행 중이며, 2020년에도 성장흐름이 유지되고 있음, 이는 기업·개인 신용평가 서비스의 수요가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
요약재무정보
(단위 : 원) |
구분 | 제37기 3분기 | 제36기 | 제35기 |
---|---|---|---|
2020.09.30 | 2019.12.31 | 2018.12.31 | |
[유동자산] | 192,050,511,022 | 174,454,101,618 | 144,404,638,087 |
ㆍ매출채권및기타채권 | 41,811,592,500 | 37,137,171,399 | 36,984,057,133 |
ㆍ기타유동자산 | 55,951,254,225 | 47,465,565,493 | 35,498,954,316 |
ㆍ현금및현금성자산 | 94,287,664,297 | 89,851,364,726 | 71,921,626,638 |
[비유동자산] | 161,561,383,474 | 144,628,728,909 | 123,651,548,036 |
ㆍ유형자산 | 49,775,574,561 | 55,105,810,652 | 36,327,616,689 |
ㆍ투자부동산 | 15,151,301,794 | 15,473,759,345 | 15,903,702,747 |
ㆍ무형자산 | 26,508,512,165 | 28,276,255,498 | 27,129,620,806 |
ㆍ기타비유동자산 | 70,125,994,954 | 45,772,903,414 | 44,290,607,794 |
자산총계 | 353,611,894,496 | 319,082,830,527 | 268,056,186,123 |
[유동부채] | 88,602,593,330 | 81,192,337,341 | 68,678,878,210 |
[비유동부채] | 16,689,113,062 | 13,709,420,758 | 1,020,735,779 |
부채총계 | 105,291,706,392 | 94,901,758,099 | 69,699,613,989 |
[지배기업 주주지분] | 248,320,188,104 | 224,181,072,428 | 198,356,572,134 |
ㆍ자본금 | 30,357,410,000 | 30,357,410,000 | 30,357,410,000 |
ㆍ기타적립금 | 38,612,294,757 | 38,331,923,976 | 39,175,728,926 |
ㆍ이익잉여금 | 179,350,483,347 | 155,491,738,452 | 128,823,433,208 |
[비지배 주주지분] | – | – | – |
자본총계 | 248,320,188,104 | 224,181,072,428 | 198,356,572,134 |
영업수익 | 336,363,345,632 | 410,914,933,674 | 383,774,178,387 |
영업이익 | 49,289,387,539 | 51,340,882,668 | 48,605,375,969 |
당기순이익 | 37,608,787,285 | 40,781,413,459 | 38,305,271,430 |
주당순이익 | 629 | 682 | 641 |
당기총포괄이익 | 37,628,777,625 | 37,107,527,754 | 35,186,293,683 |
ㆍ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37,628,777,625 | 37,107,527,754 | 35,186,293,683 |
ㆍ비지배지분 | – | – | –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3 | 3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