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투자 요약 정보
- Heavy(건설장비): 전년비 매출액 +7% 증가, 영업이익 -11% 감소, 매각관련 격려금 199억원 반영, 제외 시 영업이익 +27% 증가
- 엔진: 유가하락 영향으로 적자 지속, 영업적자 4Q -105억원(3Q -15억원)
- 현대중공업지주로 매각, 중장기로는 시너지 기대, 두산그룹의 두산중공업 자구안 이행으로 동사의 매각 진행 중
- 현대중공업지주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1월에 확정될 것으로 전망
- 시너지 측면에서현대건설기계와 공동구매, R&D 중복투자 제거 등의 효과가 있겠지만 경쟁력상 받을 것보다 줄 것이 더 많다고 판단
- 현대중공업 그룹으로의 주식매각 협상이 1월말로 예정, 이후 PMI를 거치면서 양사(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의 시너지가 집중적으로 부각될 것으로 기대
- 중국자회사 소송은 올해 완료 예정, 매각 시 두산그룹이 책임지는 것으로 언급
- 분할 시 밥캣 지분가치에 대한 재평가
- 중국시장 호조 지속, 홍수에 따른 복구 수요도 증가, 신흥시장 회복 기대는 긍정적
요약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21기 3분기 | 제20기 | 제19기 |
---|---|---|---|
2020년 9월말 | 2019년 12월말 | 2018년 12월말 | |
[유동자산] | 4,897,944 | 4,304,912 | 4,426,822 |
ㆍ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500,204 | 1,369,117 | 1,353,419 |
ㆍ재고자산 | 1,638,888 | 1,786,290 | 1,524,364 |
ㆍ기타의 유동자산 | 1,758,852 | 1,149,505 | 1,549,039 |
[비유동자산] | 7,261,978 | 7,033,681 | 6,602,345 |
ㆍ투자자산 | 309,224 | 256,962 | 194,077 |
ㆍ유형자산 | 1,876,037 | 1,871,456 | 1,782,633 |
ㆍ무형자산 | 4,709,270 | 4,562,368 | 4,328,656 |
ㆍ기타의 비유동자산 | 367,447 | 342,895 | 296,979 |
자산총계 | 12,159,922 | 11,338,593 | 11,029,167 |
[유동부채] | 3,916,086 | 4,484,420 | 3,778,574 |
[비유동부채] | 3,590,152 | 2,586,621 | 3,429,778 |
부채총계 | 7,506,238 | 7,071,041 | 7,208,352 |
[지배회사 소유주지분] | 2,484,489 | 2,222,563 | 1,916,878 |
ㆍ자본금 | 1,066,323 | 1,040,806 | 1,040,790 |
ㆍ자본잉여금 | 162,683 | 154,356 | 213,014 |
ㆍ기타자본항목 | (70,937) | (70,649) | (129,310) |
ㆍ기타포괄손익누계액 | (79,895) | (159,818) | (256,805) |
ㆍ이익잉여금 | 1,406,315 | 1,257,868 | 1,049,189 |
[비지배지분] | 2,169,195 | 2,044,989 | 1,903,937 |
자본총계 | 4,653,684 | 4,267,552 | 3,820,815 |
2020년 1월 1일 ~ 2020년 9월 30일 | 2019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 2018년 1월 1일 ~ 2018년 12월 31일 | |
매출액 | 5,913,309 | 8,185,840 | 7,730,108 |
영업이익(손실) | 511,425 | 840,397 | 848,127 |
연결당기순이익(손실) | 234,825 | 395,698 | 394,170 |
ㆍ지배회사 소유주지분 | 146,647 | 239,913 | 246,410 |
ㆍ비지배지분 | 88,178 | 155,785 | 147,760 |
지배회사 소유주지분에 대한 주당이익 | – | – | – |
기본주당순이익(손실) | 702 | 1,153 | 1,184 |
희석주당순이익(손실) | 700 | 1,139 | 1,115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38개 | 36개 | 35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