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엠반도체
투자 요약 정보
- COVID-19 저점 이후 업종 대비 더딘 회복을 보임, 3Q20 국내 주요 고객사 출하 반등에도 동사가 positioning 되어 있는 제품의 출하는 부진, 북미 고객사의 제품 출시가 연기되며 3Q20 에도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
- 연평균 10%씩 성장하는 글로벌 웨어러블 시장의 2차전지 배터리 보호회로 개발, 보호회로는 배터리의 발열 등 안정성과 효율성을 위한 필수 부품으로 이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 보유
- 전세계 유일 보호회로패키지(PMP) 제조 기업, 2차전지용 보호회로에 반도체 기술을 적용해 하나의 모듈로 패키지화한 제품으로 기존 보호회로 대비 크기가 절반밖에 안 되고 전력 효율이 60%가량 높음
- 애플의 에어팟 등 고가형 웨어러블 기기 내 필수 부품으로 자리잡음
- 북미향 공급 제품 라인업은 2019년 3종에서 2020 년 7종 내외로 추정, 2021년엔 이보다 더욱 늘어날 전망, 이에 따라 지난 12월 7일 베트남 제 5공장 시설투자를 공시하며 북미향 PMP 대응 예정, 총 548억원(설비 430억원, 부지 및 건물 118억원) 규모로 4Q21 부터 점진적으로 가동
- 북미향 제품 라인업 확대에 따른 수주 증가 테마는 변함 없음
- 현재는 가격이 가장 높은 스마트폰의 GPM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오고 있음, 아직까지 스마트폰은 비주류 legacy포함 3기종밖에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내년 하반기 접어들며 물량 증가효과 + 원가구조개선효과가 나타날 것
- 북미고객사 제품판매성향: 북미고객사 첫 진입 연도를 x년도라 할때, x+1연도, x+2연도에 legacy 물량 누적효과로 인해 외형 구조적 증가 예상
- PMP 적용 application 확대(스마트폰 작년 1기종에서 올해 2기종, 내년 최소 3기종)
- 무선이어폰 시장의 고성장(올해 상반기 yoy +113%) 등은 많은 투자자들이 공감하는 가시적인 상황
- 내년 노트북, 전동공구, 무선청소기용 제품 공급 시작, 3년 이내에 중대형 배터리 팩 시장 진입, 전기차(EV), 전기스쿠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중대형 배터리 팩 사업 진출 목표
- 최근 중대형향 설비 구입으로 인한 R&D 비용 증가는 북미고객사의 노트북, 태블릿과 같은 중대형으로의 진입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척되고 있다는 점을 방증
- 현재는 향후 최소 2년간 큰 성장이 기대되는 시점에서 외형 확대를 위한 비용증가와 양산 초기에 겪는 상대적 높은 원가율 구간으로 중장기 안정적인 실적 성장 기반을 다지는 시기로 고객사 및 제품별 다각화가 순조롭게 진행 중임을 생각하면 중장기 안정적인 실적 성장 기반을 다지는 시기로 판단됨, 단기보다는 중장기 관점 필요
- 달러 매출 베이스로 원달러 환율 하락과 4공장 및 신규 시설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는 향후 부담 요인, 환율, 감가상각비, 중대형 R&D 등 비용 단에서의 통제가 쉽지 않을 것
요약재무정보
(단위 : 원) |
구 분 | 제21기 3분기 (2020년 9월 말) | 제20기 (2019년 12월말) | 제19기 (2018년 12월말) |
[유동자산] | 234,526,082,410 | 229,249,851,750 | 90,695,035,624 |
ㆍ현금및현금성자산 | 46,683,510,767 | 44,870,021,933 | 12,061,100,896 |
ㆍ매출채권 | 79,633,936,871 | 73,042,960,084 | 43,082,574,245 |
ㆍ단기기타채권 | 1,144,415,178 | 1,024,603,682 | 462,798,327 |
ㆍ기타유동금융자산 | 58,113,775,063 | 66,590,101,773 | 5,962,437,955 |
ㆍ재고자산 | 43,439,916,482 | 38,331,252,314 | 26,240,049,967 |
ㆍ통화선도자산 | – | 706,588,965 | – |
ㆍ당기법인세자산 | 4,810 | 32,020 | – |
ㆍ기타유동자산 | 5,510,523,239 | 4,684,290,979 | 2,886,074,234 |
[비유동자산] | 234,927,995,698 | 201,270,079,456 | 150,148,633,192 |
ㆍ기타비유동금융자산 | 7,230,016,533 | 6,966,408,554 | 923,905,025 |
ㆍ투자부동산 | 12,954,364,585 | 15,187,879,707 | 16,961,783,536 |
ㆍ유형자산 | 190,139,219,966 | 161,058,120,774 | 119,459,559,965 |
ㆍ사용권자산 | 5,297,290,227 | 3,930,976,860 | – |
ㆍ무형자산 | 14,885,788,798 | 10,187,036,191 | 7,360,699,352 |
ㆍ이연법인세자산 | 2,708,266,952 | 2,718,104,176 | 4,667,653,955 |
ㆍ기타비유동자산 | 29,600,252 | 30,850,387 | 1,299,534 |
ㆍ순확정급여자산 | 1,683,448,385 | 1,190,702,807 | 773,731,825 |
자산총계 | 469,454,078,108 | 430,519,931,206 | 240,843,668,816 |
[유동부채] | 161,856,274,401 | 131,574,266,639 | 128,439,768,455 |
[비유동부채] | 35,906,477,181 | 32,581,430,524 | 11,621,297,225 |
부채총계 | 197,762,751,582 | 164,155,697,163 | 140,061,065,680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271,691,326,526 | 266,364,234,043 | 100,787,506,725 |
ㆍ자본금 | 11,430,356,000 | 11,414,034,500 | 8,803,114,000 |
ㆍ자본잉여금 | 213,192,117,317 | 212,908,770,144 | 90,767,115,958 |
ㆍ기타자본항목 | (5,859,224,398) | 632,982,729 | 522,702,700 |
ㆍ이익잉여금(결손금) | 52,928,077,607 | 41,408,446,670 | 694,574,067 |
[비지배지분] | – | – | (4,903,589) |
자본총계 | 271,691,326,526 | 266,364,234,043 | 100,782,603,136 |
기간 | (2020.1.1.~ 2020.9.30.) | (2019.1.1.~ 2019.12.31.) | (2018.1.1.~ 2018.12.31.) |
매출액 | 255,814,099,834 | 397,697,086,094 | 228,237,125,214 |
영업이익(영업손실) | 16,242,977,901 | 53,501,442,683 | 21,081,087,154 |
당기순이익(당기순손실) | 11,519,630,937 | 41,666,847,581 | 18,158,536,719 |
– 지배기업 소유주 자본 | 11,519,630,937 | 41,659,313,675 | 18,157,942,453 |
– 비지배지분 | – | 7,533,906 | 594,266 |
기본주당이익 | 505 | 2,220 | 1,194 |
희석주당이익 | 500 | 2,197 | 1,142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3 | 3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