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보
투자 요약 정보
- 2차전지 및 디스플레이 소재 기업으로 강력한 경제적 해자를 보유
- 성장산업에 속하여 수익성과 성장성을 모두 갖춤
- 생산능력 확대와 가동률 상승에 따른 실적 선순환 사이클 진입 예상
- LCD식각액첨가제는 식각 공정 상 속도를 조절하거나 미세 패턴을 구현하는 기능, 고화질 LCD 패널 제조에 핵심적인 역할
- 동사의 LCD식각액첨가제인 아미노테트라졸(ATZ)은 국내시장점유율 1위, 세계시장점유율 1위(95%), 2018년부터는 차세대 제품인 메틸테트라졸(MTZ) 판매 중
- 동사의 하이드록시파이렌(HP)은 반도체 제조공정 중 SOH공정에서 초미세 선폭의 패턴을 구현하는데 정확성을 제고하는 역할(수율 및 품질개선, 생산성 향상, 설비투자 절감 효과 소재), 국내 시장 점유율 80% 이상
- 반도체 공정 미세화가 진행될 수록 하드마스크 공정 확대는 불가피하기 때문에 동사에 수혜
-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양 시장에서 공정소재로 시장점유율 80% 이상
- SN, DPN, AN등의 다양한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와 2차전지용 핵심 전해질 LiFSI, LiPO2F2, LiDFOP, LiPF6도 생산 중
- 2차전지 소재 부문 매출 YoY 112% 증가, 전사 실적 성장 견인
- LiPO2F2는 중국향 고객사 물량 증가로 전방산업 호조 지속
- 고객사와의 분쟁으로 부진했던 LiFSI는 4분기 실적으로 정상화 증명, 안정적인 성장 지속
- 제품은 물질·공정특허 만료로 공정상 수율, 품질과 판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 경쟁력 지속 유지중
- 중국 전기차 시장의 전해액 고객사들이 2차전지 소재 부문 매출 55% 비중을 차지
- 배터리 에너지 밀도 개선 과정에서 지속적인 ‘F 리튬염 전해질’ 채택률 상승
- 3분기부터 신규 라인 가동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증가되었지만 가동률은 완만하게 상승 중
- 엔켐과의 분쟁은 3Q20기점으로 일단락되고, 국내 배터리 고객사와의 좋은 관계 지속, 벤더의 지위에는 흔들림이 없는 것으로 파악
- TV, 노트북, 태블릿 수요 강세로 LCD 식각액 매출 YoY 24% 증가
- 반도체 및 OLED 부문의 경우 경쟁 심화로 매출 YoY 58%/17% 감소
- 전자 소재 부문 매출의 70% 차지하는 LCD 식각액 사업 가동률 지속 상승하며 전자 소재 부문 영업이익률은 20% 수준 유지할 것으로 전망
- 2차전지 소재 매출 비중은 2019년 39%, 2020년 49%, 2021년 66%, 2022년 77%로 상승 전망
- 2차전지 소재 CAPA는 2020년 1,840톤, 2021년 4,000톤, 2022년 6,000톤, 2023년 8,000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주력 제품인 리튬염 및 전해액 첨가제의 배터리 시장 내 침투율 상승과 함께 소재 국산화 과정에서 시장점유율 상승 효과도 기대
- 현시점(21년)에서 향후 3년간 연 평균 EPS 증가율은 60%로 예상, 현재의 고멀티플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이익 근거
요약재무정보
(단위 : 원) |
구 분 | 제 14 기 3분기 | 제 13 기 | 제 12 기 |
---|---|---|---|
(2020년 9월말) | (2019년 12월말) | (2018년 12월말) | |
I. 유동자산 | 130,673,569,616 | 153,243,759,240 | 71,926,006,533 |
당좌자산 | 96,725,519,324 | 124,943,626,238 | 45,798,550,756 |
재고자산 | 33,948,050,292 | 28,300,133,002 | 26,127,455,777 |
II. 비유동자산 | 107,884,886,825 | 81,993,156,362 | 62,822,060,855 |
투자자산자산 | 3,440,724,324 | 3,384,024,324 | 668,973,877 |
유형자산 | 102,901,053,460 | 77,249,525,769 | 60,314,007,376 |
무형자산 | 1,211,479,546 | 1,144,789,139 | 1,165,964,333 |
기타비유동자산 | 331,629,495 | 214,817,130 | 673,115,269 |
자 산 총 계 | 238,558,456,441 | 235,236,915,602 | 134,748,067,388 |
I. 유동부채 | 16,579,218,626 | 23,353,954,797 | 25,774,593,175 |
II. 비유동부채 | 7,109,936,078 | 1,279,303,883 | 1,375,036,276 |
부 채 총 계 | 23,689,154,704 | 24,633,258,680 | 27,149,629,451 |
지배기업의 소유지분 | 214,853,162,092 | 210,596,590,634 | 107,598,435,482 |
I. 자본금 | 5,060,000,000 | 5,060,000,000 | 3,988,147,000 |
II. 자본잉여금 | 87,345,563,870 | 87,345,563,870 | 8,825,179,624 |
III. 자본조정 | (9,628,376,938) | (890,688) | (890,688) |
IV.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2,178,106) | (18,511,303) | (3,368,936) |
V. 이익잉여금 | 132,088,153,266 | 118,210,428,755 | 94,789,368,482 |
비지배지분 | 16,139,645 | 7,066,288 | 2,455 |
자 본 총 계 | 214,869,301,737 | 210,603,656,922 | 107,598,437,937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238,558,456,441 | 235,236,915,602 | 134,748,067,388 |
(‘20.01~’20.09) | (‘19.01~’19.12) | (‘18.01~’18.12) | |
I. 매출액 | 110,451,273,479 | 135,310,691,327 | 120,088,707,578 |
V. 영업이익 | 20,560,702,450 | 27,195,971,237 | 27,040,618,668 |
IX. 당기순이익 | 16,886,074,979 | 23,052,430,719 | 22,636,847,686 |
[지배회사지분순이익] | 16,877,705,311 | 23,045,461,026 | 22,635,157,894 |
[소수주주지분순이익] | 8,369,668 | 6,969,693 | 1,689,792 |
연결총포괄이익 | 16,893,111,865 | 23,412,981,739 | 23,171,697,456 |
[지배회사지분손익] | 16,884,038,508 | 23,405,917,906 | 23,170,227,927 |
[소수주주지분손익] | 9,073,357 | 7,063,833 | 1,469,529 |
주당순이익 | 1,692 | 2,348 | 2,958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2 | 2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