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퓨얼셀
투자 요약 정보
- 지난해 11월부터 인허가 재개로 수주상황 정상화
- 수소발전 의무화제도는 최근에 업계의 의견을 회람하고 있는 단계, 무리 없이 연내 법제화될 것으로 예상
- 국내 HPS(수소발전의무화제도) 도입으로 연 400MW(20년 148MW) 시장 기대
- EU에 이어 미국까지 수소시장 확대 예상, 글로벌 수소 시대 열리는 중
- EU의 그린수소 투자가 확정된 후 1년도 안되는 기간에 발표된 그린수소프로젝트만 17GW에 달함
- 이 추세대로라면 EU의 목표인 2030년 40GW뿐 아니라 글로벌 전체에 약 100GW 이상의 그린수소 공급망이 갖추어질 것으로 판단
- 현대차, 토요타 이외에 수소연료전지와 수소를 만드는 수전해 설비를 제조하는 업체들 5개가 동시에 기가 팩토리 건설 중
- 미국의 바이든 정부도 탄소배출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수소를 주요 수단으로 삼을 것이라고 핵심 관계자들이 밝힘
- 아시아 3개국가에 국한되던 수소가 글로벌 개화를 앞두고 있음
- 글로벌 수소업체들 대비 매력적, 현재 발전용 PAFC 위주의 사업구조가, SOFC, PEMFC로 확대되고, PEM 방식의 수전해 사업에도 진출
- 이는 다양한 사업을 벌이는 글로벌 수소업체들과의 밸류에이션 갭이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 2022년부터 신공장 가동되면 매출 급증 예상
- 선박용 연료전지, 수전해용 연료전지, 상용차 파워팩, 공장증설 등 확장은 지속될 것
요약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2기 3분기 | 제1기 |
(2020년 9월말) | (2019년 12월말) | |
[유동자산] | 381,159 | 408,360 |
ㆍ당좌자산 | 279,078 | 330,709 |
ㆍ재고자산 | 102,081 | 77,651 |
[비유동자산] | 94,991 | 87,401 |
ㆍ투자자산 | 7,557 | 4,389 |
ㆍ유형자산 | 39,620 | 42,728 |
ㆍ무형자산 | 28,076 | 28,598 |
ㆍ기타비유동자산 | 19,738 | 11,686 |
자산총계 | 476,150 | 495,761 |
[유동부채] | 185,441 | 225,303 |
[비유동부채] | 110,852 | 103,687 |
부채총계 | 296,293 | 328,990 |
[자본금] | 7,185 | 7,185 |
[자본잉여금] | 148,543 | 148,541 |
[자본조정] | (28) | (26)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466 | 466 |
[이익잉여금] | 23,691 | 10,605 |
자본총계 | 179,857 | 166,771 |
관계ㆍ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지분법 | 지분법 |
(2020.01.01 ~ 2020.09.30) | (2019.10.01 ~ 2019.12.31) | |
매출액 | 304,161 | 221,171 |
영업이익 | 20,420 | 19,488 |
당기순이익 | 13,086 | 11,871 |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원) | 182 | 165 |
구형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원) | 182 | 167 |
보통주 희석주당순이익(원) | 182 | 165 |
구형우선주 희석주당순이익(원) | 182 | 1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