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스첨단소재
투자 요약 정보
- 전체 매출의 약 50%를 차지하는 동박 부문이 중국 통신장비향 물량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15% 감소
- 전지박 부문은 11월부터 양산을 시작하여 약 9억 원 수준의 매출을 기록, 높은 고정비 부담으로 수익성 악화
- 반면 OLED 소재는 모바일 패널 고객사의 수요 확대로 전년동기대비 41% 성장하며 양호한 실적 기록
- 분기 실적 개선 흐름은 동박과 전지박 모두 하반기로 갈수록 강해질 것으로 전망
- 2021년 연간 실적 전망치는 매출액 3,977억 원, 영업이익 451억 원(YoY +37%, 48%)
- 전지박 부문 캐파 증설 계획은 2021년 1만톤, 2021년 2.5만톤, 2025년 이후부터는 7.5만톤, 이에 따른 매출액 추정치는 2021년 798억 원, 2022년 1,855억 원
- 초기 양산에 따른 고정비 부담으로 2021년 BEP에서 수율 개선 및 매출액 성장과 함께 본격적인 실적 기여는 2022년부터 예상
- 동박 사업부문은 3분기부터 이어진 중국 5G 투자 지연이 수익성을 악화, 4분기부터 시작된 헝가리 전지박 공장 매출도 예상보다 부진
- 첨단소재 사업부문은 OLED 소재와 바이오 사업이 모두 선전하면서 수익성 방어
- OLED 적용 스마트폰 모델의 판매 호조 및 바이오 사업 제품 다각화가 실적 방어
- 올해부터 전지박 통한 성장 현실화 예상, 지연된 5G 네트워크 투자 진행에 따라 동박 사업 정상화는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
- 헝가리 전지박 공장도 본격적인 양산 전까지 고정비 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 전지박 공장이 상반기에 모든 라인 Set-up이 완료되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 안정화와 생산성 개선 기대
-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를 포함한 고객 다변화 추진 중으로 향후 주가에 긍정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예상
- OLED 소재는 TV향 제품 개발 등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예정, 중국 고객사 대응을 위한 현지 공장 설립 또한 준비 중
요약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2기 3분기 (2020년 9월말) | 제1기 (2019년 12월말) |
---|---|---|
[유동자산] | 179,811 | 230,551 |
현금및현금성자산 | 52,982 | 94,646 |
매출채권 | 58,943 | 54,731 |
재고자산 | 55,131 | 43,436 |
기타 유동자산 | 12,755 | 37,739 |
[비유동자산] | 363,623 | 263,649 |
유형자산 | 301,735 | 212,155 |
무형자산 | 13,776 | 9,683 |
투자부동산 | 5,175 | 5,175 |
이연법인세자산 | 27,180 | 28,950 |
기타비유동자산 | 15,757 | 7,686 |
자산총계 | 543,434 | 494,200 |
[유동부채] | 139,837 | 184,007 |
[비유동부채] | 248,249 | 169,561 |
부채총계 | 388,086 | 353,568 |
[자본금] | 3,960 | 3,960 |
[자본잉여금] | 127,294 | 127,294 |
[기타자본항목] | (37) | (37)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0,588 | 5,088 |
[이익잉여금] | 13,543 | 4,327 |
자본총계 | 155,348 | 140,632 |
(2020.01.01~2020.09.30) | (2019.10.01.~2019.12.31.) | |
영업수익(매출액) | 220,018 | 69,995 |
영업이익(손실) | 27,798 | 10,179 |
당기순이익(손실) | 9,206 | 4,493 |
보통주기본주당순이익(원) | 232 | 113 |
구형우선주기본주당순이익(원) | 233 | 114 |
보통주희석주당순이익(원) | 232 | 113 |
구형우선주희석주당순이익(원) | 233 | 114 |